임당 검사 재검 ( 임신성 당뇨병 검사 재검 )
2023.03.06 - [임신일기] - 임당 검사 재검 확정, 임당 검사 재검 수치
임당 검사 재검 확정, 임당 검사 재검 수치
임당검사 (임신성 당뇨병 검사) 1. 임당검사란? 임당검사는 임신성 당뇨병 검사로, 원래 당뇨가 없던 사람이 임신 20주 이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
choiki.tistory.com
1. 임당 재검 방법
1) 50g 포도당 섭취 후 1시간이 지났을때 혈액 중의 포도당 농도를 측정
140mg/dL(고위험 산모의 경우 130mg/dL) 이하이면 정상
140mg/dL(고위험 산모의 경우 130mg/dL) 이상인 경우 다시 100g 경구당부하 검사를 시행
2) 위 검사에서 140mg/dL이상인 경우 ( 임당 재검 )
8~12시간 금식 후, 100g 포도당 섭취 후 1시간마다 혈액준의 포도당 농도를 3번 측정
공복 혈당 95mg/dL 이하
1시간 혈당 180mg/dL 이하
2시간 혈당 155mg/dL 이하
3시간 혈당 140mg/dL 이하이면 정상
2. 삼성미즈산부인과 임당 재검 후기
임당 검사는 금식 2시간 후 병원에 가서 소변검사를 하고, 포도당 50g을 마시고 한시간 뒤에 채혈을 합니다. 정상 범위는 140미만으로 저는 임당 수치 147로 재검을 하게 되었습니다.
임당 재검은 8-14시간 금식이라고 해요. 병원마다 조금 다른듯 한데, 제가 다니고 있는 삼성미즈산부인과에서는 8시간 금식하고 오라고 하더라구요. 음식, 물 모두 금지입니다!
9시에 병원을 가서 공복에 1차 채혈을 합니다. 그리고 바로 시약 100g을 복용하면 이제 시작입니다.
복용 시간으로부터 1시간 간격으로 세 번 더 4차까지 채혈을 합니다.
삼성미즈산부인과 임당 재검 시에는 대기 시간이 길어 힐링 대기실에서 쉴 수 있습니다. 바깥 진료 대기 의자가 아닌 리클라이너 쇼파에서 기다릴 수 있어서 몸 편히 기다릴 수 있었습니다.
( 보호자는 들어올 수 없고 본인만 들어갈 수 있습니다! )
3. 임당 재검 통과
공복에 1차 채혈 후 한시간 간적으로 4차 채혈까지 마쳤습니다.
네 번의 채혈동안 왼팔과 오른팔을 번갈아가며 했어요.
임당 재검 결과는 네 번의 채혈 후, 2~30분 뒤에 나옵니다.
네 번의 채혈을 마치고 원장님을 보러 진료실로 올라갔습니다.
금식시간과 4차례의 채혈도 힘들었지만, 임당 확정이라면 출산까지 식단관리를 해야 한다니 임당 확정이 아니길 바라며 기다렸습니다.
임당 재검 정상 범위는 공복 혈당 95mg/dL 이하, 1시간 혈당 180mg/dL 이하, 2시간 혈당 155mg/dL 이하, 3시간 혈당 140mg/dL 이하입니다.
임당 확정 기준은 4번의 채혈 수치 중 2번이 기준보다 높으면 확정입니다!
저는 3차 수치가 155이하가 정상인데 165가 나왔지만, 하나만 높아서 겨우 통과를 했습니다.
네 번의 채혈 수치 중 한 번만 높아서 일단은 통과인데, 원장님이 출산까지 식단 관리를 하라고 하시더라구요.
임당이 호르몬 영향이라고는 하지만, 먹는게 영향이 가니 과일과 같은 단 음식 줄이고 탄수화물도 줄이라고 하셨어요.
그리고 배부르게 먹지 말라고…
일단은 임당 재검 통과를 하긴 했지만, 남은 임신 기간동안 식단 관리를 해야겠습니다.
4. 임당 검사란?
임당 검사는 임신성 당뇨병 검사로, 원래 당뇨가 없던 사람이 임신 20주 이후에 당뇨병이 발생하는 경우를 말합니다.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으로 인해 임신부의 인슐린 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정상적으로 이를 극복하기 위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때 인슐린 분비가 충분치 않을 경우 임신성 당뇨가 발생하게 됩니다.
임신성 당뇨병은 보통 출산 후에는 없어지지만, 높은 혈당은 산모와 태아에게 나쁜 영향을 줄 수 있어서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단받았다면 임신기간에 더욱 세심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임신성 당뇨병은 전체 임산부의 약 3% 내외에서 발생한다고 합니다.
5. 임신성 당뇨병의 검사 시기
임당 검사 시기는 24주에서 28주 사이로 모든 임신부에게 시행합니다.
6. 임신성 당뇨병의 위험성
• 임신성 고혈압, 자간전증, 양수과다증, 유산 발생 위험 증가
• 난산이나 원하지 않는 제왕절개의 위험 증가
• 거대아가, 신생아 호흡곤란이나 신생아 저혈당 발생 확률 증가
• 아이가 자라면서 소아 비만이나 대사증후군이 생길 위험이 정상 산모의 2배
7. 임신성 당뇨병 고위험군
• 4kg 이상의 아기를 분만했던 경험이 있는 경우
• 당뇨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
• 양수과다증이 있는 경우
• 산모의 나이가 많은 경우
• 임신 전 비만한 경우(체질량 지수 ≥ 30kg/㎡)
• 이전에 임신성 당뇨병이 있었던 경우
• 뚜렷한 이유없이 사산, 조산, 유산 등의 경험이 있는 경우
'임신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둘째 내진, 내진 시기, 태동검사(태아 안녕 검사), 태동검사 비용 (0) | 2023.06.28 |
---|---|
삼성미즈 막달검사 비용, 임산부 백일해 주사 (0) | 2023.06.25 |
임당 검사 재검 확정, 임당 검사 재검 수치 (0) | 2023.03.06 |
임신 22주차 정밀초음파 시기, 비용. (0) | 2023.02.15 |
[임신 16주차] 2차 기형아검사 시기, 비용, 결과 (0) | 2023.02.05 |
댓글